입학안내
첫째
제주바다는 아무곳에서나 수산물을 채취할수 없습니다.
제주바다는 어느 지역이나 마찬가지로 해당지역 어촌계에서 관리하고 좀패를 방류해서
마을 양식장의 개념으로 운영되기 되기때문에 일반인들이 수산물을 채취해서도 안되고 채취할수도 없습니다.
특히나 금채기인 매년 여름이 되면 흔히 볼수 있는 풍경이 관광오신 관광객들이 아무 바다에나 들어가서
수산물을 채취하면서 지역 해녀삼춘들이나 어촌계분들과 언쟁을 벌이는 부분이 이런이유 때문입니다.
제주바다는 아무곳에서나 수산물을 채취할수 없습니다.
제주바다는 어느 지역이나 마찬가지로 해당지역 어촌계에서 관리하고 좀패를 방류해서
마을 양식장의 개념으로 운영되기 되기때문에 일반인들이 수산물을 채취해서도 안되고 채취할수도 없습니다.
특히나 금채기인 매년 여름이 되면 흔히 볼수 있는 풍경이 관광오신 관광객들이 아무 바다에나 들어가서
수산물을 채취하면서 지역 해녀삼춘들이나 어촌계분들과 언쟁을 벌이는 부분이 이런이유 때문입니다.


둘째
해녀학교를 나와서 자격증을 받는 다고 해서 해녀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해녀가 되기위해서는 제주에 희망하시는 지역에서 어촌계에 우선 가입하셔서
그 지역 어촌계원이 먼저 되셔야하고 그후에 잠수회(해녀회)에 가입하셔야 됩니다.
가입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고 우선 약 3개월~6개월가량의 예비해녀의 과정을 거쳐
수협에 해녀로 등록해야 해녀증이라는 것이 나와서 해녀가 될수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것은 그냥 일반적인 가입방법에 대해 말씀드린것이지 제주는 각 지역별 어촌계별
가입과정이나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그지역의 방법을 존중하셔셔 따라야 할것 입니다.
해녀학교를 나와서 자격증을 받는 다고 해서 해녀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해녀가 되기위해서는 제주에 희망하시는 지역에서 어촌계에 우선 가입하셔서
그 지역 어촌계원이 먼저 되셔야하고 그후에 잠수회(해녀회)에 가입하셔야 됩니다.
가입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고 우선 약 3개월~6개월가량의 예비해녀의 과정을 거쳐
수협에 해녀로 등록해야 해녀증이라는 것이 나와서 해녀가 될수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것은 그냥 일반적인 가입방법에 대해 말씀드린것이지 제주는 각 지역별 어촌계별
가입과정이나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그지역의 방법을 존중하셔셔 따라야 할것 입니다.

